실내환기는 이렇게 이루어 져요. 눈으로 보는 환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5-02-01 09:03 작성자by. 현대아인스홈
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기에
우리는 괜찮겠지라는 생각으로
외면하며 일상 생활을하고 있지만
사실 실내공기질은 우리의 건강과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어요.
그래서 오늘은 눈에 보이게 공기를
촬영하여 어떻게 환기가 되는지를
살펴보도록 해요.
사무실에 보이는 연막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라돈, 총부유세균,
포름알데히드 등으로 생각하면 좋아요.
이런 모든 오염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저런 형태로 실내에 떠다니며
실내공기는 오염되고 있어요.
영상에서 보는것과 같이
구름이 흐르듯
연막은 움직이며 실내 구석구석을
떠다니고 있어요.
그러다가 우리가 호흡을 하게되면
1차적으로 폐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건강을 위협하게 되어요.
저렇게 움직이는 실내공기에
습기가 많이 함유되어있다면
구석이나 창문에 맺히게 되고
그 맺힘이 오래되면 곰팡이가 서식하게 되어요.
반대로
외부의 맑은 공기가 들어온다면
이렇게 구름처럼 움직이며
구석구석의 오염공기와 자리를 바꾸게 되어요.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실내 전체는
맑은 공기로 가득차게 되는 거에요.
고인물이 썩어가고
흐르는 물은 맑은물이 되는것과
같은 현상으로 보면되요.
이렇게 전열교환기는 실내공기질
환경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보시면 되어요.
전열교환기는
흡기가 70초동안 이루어지고
5초쉬고
배기가 70초동안 이루어져요.
5초의 휴식시간은
기기가 리턴할때 재정비의 시간이기도 하지만
내부오염공기가 외부로 멀리
날라가는 시간 이기도 해요.
다시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에요.
이렇게 무한으로 반복하며 실내오염공기는
바깥으로 배출되고
외부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면서
실내 연막은 점점 맑아지고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로 바뀌는 거에요.
공기중에 떠있는 코로나19바이러스,
독감바이러스등 각종오염원들이
그렇게 배출되는 거에요.
한가지 예로
요양원에는 실내공기질 관련법이 적용되며,
그 관련법에 근거하여
요양원 평가 점수를 반영하는데
그곳에는 공기정화 설비는 전열교환기가 아닌
환풍기나 공기청정기는
환기 기기로 인정하지 않고 있어요.
국민건강보험
등록된 코멘트가 없습니다.